⭐코린이 가이드⭐

  1. 업비트/빗썸에서 벗어나는 방법 알기 해외거래소 및 개인 지갑 사용법 알기 트래블룰 꼭 이해하고 가기
  2. 이더리움, 솔라나, bnb등 다양한 네트워크의 차이점에 대해 알기 네트워크 별로 특화된 지갑이 다름, 이더리움->메타마스크 , 솔라나->팬텀
  3. 특히 이더리움은 아비트럼, 폴리곤, 오피 등등 어느 네트워크에 있느냐에 따라 메타마스크에 안보일 수도 있음 이 때 이더리움이 있는 “네트워크 추가”를 하면 내 자산이 잘 보임.
  4. 3번에서 언급한 네트워크를 왔다갔다 할 때에 “브릿지” 라는 용어를 사용함 섬이 여러 개 있고 다리를 놓는다고 생각하면 편함, 마치 필리핀이라는 국가가 이더리움 메인넷이고, 그 안에 수 많은 섬이 레이어2 네트워크임!
  5. 에어드랍은 포인트 or 지네 맘대로임. 포인트라면 착실하게 하라는거 그대로 하면 되고, 개발자 맘대로 일때에는 에어드랍 줄 것 같은 행위를 하면 됨
  6. “에어드랍 줄 것 같은 행위”를 가이드 해주는게 돌찬 역할
  7. 코인 세계는 클릭 한 번 한 번이 “가스비”가 들어감. 즉, 무언가 바꿀 때. 예치할 때에 100% 넣게되면 추후 행위에 필요한 가스비가 부족함
  8. “가스비”는 각 네트워크마다 다름. 이더리움 메인넷-> 이더리움 이더리움 레이어2-> 이더리움 *폴리곤은 레이어2이지만 가스비로 폴리곤 씀! Bnb 네트워크 -> bnb 솔라나 네트워크 -> 솔라나
  9. 예치 작업을 할 때에는 “언락” 혹은 “언스테이킹” 시에 필요한 기간은 얼마 인지 꼭 체크하기
  10. 디파이 작업 할 때 “담보” 와 “대출“의 개념 확실하게 알기.
  11. 우리는 ”신용“ 대출이지만 코인세계는 빚 못갚는다고 쫓아오지 못하기 때문에 ”담보 대출”임. 즉 빌린 돈이 담보보다 높아지면 코딩에 의해 강제 청산임. 담보 뺏어!!
  12. 주택 시장과 같이 LTV 개념이 동일하게 적용됨. 100만원 담보 , 80만원 대출 => 80% LTV임 상당히 위험한 수준, 보통 디파이들은 80퍼센트에서 청산각을 보기 때문에 더 낮은 퍼센트의 대출!
  13. 대출 받은 걸 또 담보로 맡기면 LTV가 줄어듦. 이게 풍차돌리기임
  14. 노드는 생각보다 어렵다 코린이면 쳐다보지 말자. 운영법보단 가격 예측 측면에서 어렵다는 것이다.

<<용어 정리>>

디앱 : 앱. 아이폰 안에 다양한 앱이 있듯이 다양한 디앱들이 네트워크에 존재.

디파이 : 은행. 코인 담보 넣고, 코인 대출받고 (유사어 : 렌딩 프로토콜)